발명의 명칭: 튜브형 삼상궤도 진공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Ⅰ

발명의 명칭: 튜브형 삼상궤도 진공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Ⅰ

(The vacuum tube shuttle system with three phase magnetic levitation tracks)

 

요 약

본 발명은 종래 단상궤도와 이륜바퀴의 기존 철도기술에서 연원하는 단상궤도 자기부상 열차와 진공튜브 열차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진공튜브 형상에 7개의 양정현파 주름관을 정육각형 각 변에 연접시킨 육방격자형 다중튜브 구조물로서 각 튜브내 정삼각형 꼭짓점에 삼상(3 phase) 자기부상 궤도(track) 방식의 진공자기부상 이동체 시스템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자기부상 이동체 시스템에 있어서 튜브셔틀, 교차로, 플랫폼의 구조, 해상 구간의 시공공법, 시스템 운영방법 등을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5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속이 빈 주름관(corrugated tube) 내부를 진공 또는 아진공으로 유지하고 외부와 격리하는 진공튜브인 주행튜브(10);

상기 주행 튜브 내벽 정삼각형 꼭짓점 ABC에 자기편 또는 전자기편을 갖는 ABC 궤도가 상기 주행튜브(10) 원점을 중심으로 2π/3 라디안의 동일한 위상차로 설치되는 삼상궤도(13);

상기 주행 튜브의 내부에 주행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삼상궤도(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기편 또는 전자기편을 구비하고 내부 객실을 가지는 원통형 압력용기 형상의 자기부상이동체인 튜브셔틀(20); 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튜브(10)의 주름은 상기 주행튜브(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 보아 주름관의 파형주기가 π라디안을 갖되 파형의 각 마루는 주름관 외벽에 위치하고 파형의 각 골은 주름관 내벽을 형성하는 양정현파 형상의 주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튜브(10)가 7개 모여 하나의 선로튜브(11)를 구성하고, 상기 선로튜브 (11)내에서 상기 주행튜브(10)들은 서로 외접하고 상층 중층 하층의 3개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층에 2개, 중층에 3개, 하층에 2개의 기본주행튜브(10)가 배치되는 2-3-2 구조를 가지되,

기본형 7튜브(7 tube)의 기하적 공간 배치는,

xy축 원점 O(0,0) 원점 튜브(0번 튜브)는 유지보수 선로로,

시계우현 π/3(1번튜브) 2π(2번튜브) 5π/3(3번튜브)는 우측선로로,

시계좌현 4π/3(4번튜브) π(5번튜브) 2π/3(6번튜브)는 좌측선로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튜브 내부에 안치되는 자기편은, 튜브 내심 π/3 길이와 곡률의 플랜지와 +형 WF보 형상으로, 상기 주행튜브에 내접하는 정삼각형의 꼭짓점의 위치에서 주행튜브 내벽의 음정현파 주름에 플랜지를 쐐기로 고정되는 삼상궤도(3 phase track)를 구비하되, 상기 정삼각형의 꼭짓점은 주행튜브의 반지름이 r일 때 극좌표 표시로 (r,π/2), (r,7π/6), (r,11π/6)의 세 점으로 나타내어지는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튜브는 편평관 외피로 내접면을 감싸 외형을 형성하되, 상기 선로튜브(11)의 외피는 양정현파 주름관의 바깥층(face)을 구성하며, 가로방향 양정현파 주름관인 헬리컬튜브와 편평관을 채움관으로, 선로튜브(11) 외피와 주행튜브 사이 빈 공간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며, 주행튜브(10)와 채움관 사이에 경량 플라스틱 또는 포말재를 충진하여, 주행튜브와 채움관 및 포말재가 중간층(core)인 필러로 작용함으로써, 선로튜브의 전단력 분산과 굽힘 모멘트를 강화시키며, 바깥층(face)을 주름이나 좌굴로부터 안정화시키는 지지층 역할로, 다중샌드위치보(multiple sandwich beam, MSB)의 기능을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6

제2 항에 있어서,

선로튜브의 양 끝단에 길이 200t의 볼트 체결부를 구비하고,

길이 400t의 열수축관 너트 체결부로 다른 선로튜브를 체결하며,

너트 체결부 양단에 기밀과 수밀유지용 이중 오링을 추가한 후,

너트 체결부 외부를 500t 길이 보호함체로 보강하되,

함체에는 7개 스프링을 1개로 병렬 결속시킨 묶음형 튜브댐퍼를 구비하되,

스프링 배치는 댐퍼 원점 O(0, 0)의 중앙 스프링을 중심으로,

주변에 스프링 6개를 정육각형의 육방격자형으로 배치하되,

각기 스프링은 오른손과 왼손의 2반대 방향 턴(turn)의 위상(phase) 반전과, 재료, 합금 비율, 감는 수를 다르게 하여 7개 고유진동수ω를 갖게 하며,

스프링의 위상 기하적 배열로 7!×2! = 10,080개 진동패턴을 갖게 함으로써,

스프링에 저장되는 탄성위치 에너지(elastic potential energy)를,

소멸간섭과 감쇠진동(damped oscillations)으로 공진을 억제하고,

선로튜브의 하중 혹은 부력을 지지하며,

육상구간 혹은 터널내벽은 π/2, 3π/4, π/4, 5π/4, 7π/4, 3π/2의 6개소와 접속하고, 해상구간 수중 교각은 π, 5π/4, 7π/4, 2π의 4개소와 접속하며,

튜브평형추와 튜브앵커는 1개 혹은 2개소를 접속하여,

지진파 등 외부충격과 이동체 운행에 따른 진동·섭동 등의 파동에너지를 대지로 환류(feedback)시키는 불요 에너지파 접지(接地)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7

제4 항에 있어서,

주행튜브에 내접하는 정삼각형의 꼭짓점을 주행튜브의 반지름이 r일 때 극좌표 표시로 (r, π/2), (r, 7π/6), (r, 11π/6)의 세 점으로 표시할 때,

상기 정삼각형의 꼭짓점에 안치되는 궤도는,

상기 각 꼭짓점 ABC간 2π/3 라디안(120도) 위상간격을 갖는 삼상궤도로,

WF보의 상하부 플랜지(flange)와 상하부 웨브(web) 프레임의 구조물로,

하부 플랜지는 주행튜브 음정현파 주름의 내벽을 형성하여,

하부 웨브와 상부 플랜지 및 상부 웨브를 지지하고,

선로튜브 외피와 양정현파 주름관의 바깥층(face)을 형성하여,

선로튜브가 합성보(composite beam)인 샌드위치보의 기능을 갖게 하며,

하부 웨브는 z축 자기 균형편의 프레임으로,

상부 플랜지는 xy축 자기 부상편의 프레임으로,

상부 돌출웨브는 z축 자기 견인편의 프레임이 되며,

웨브와 플랜지의 방향이 주행튜브 중심으로 향하게 하여,

전자기력의 벡터합력을 튜브셔틀의 원점 O(0, 0, 0)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8

제7 항에 있어서,

주행튜브 내벽 음정현파 주름과 접하는 자기편 하부 플랜지는,

직선구간 플랜지는 z축상 100t(1m)의 단위길이를 갖고,

곡선구간 플랜지는 z축상 100t(1m) ± 0.015 라디안 곡률길이로,

주행튜브 내경 원주의 2π/3 길이 원호와 곡률ρ을 갖게 되고,

주행튜브의 반지름이 r일 때 극좌표 표시로 (r, π/6), (r, 3π/2), (r, 5π/6)에 플랜지간 접합부를 갖고 있으며,

주행튜브 내부 음정현파 주름에 접하여 내벽을 형성하고,

주행튜브 내벽 정육각형 꼭짓점

(r, π/3), (r, 2π), (r, 5π/3), (r, 4π/3), (r, π), (r, 2π/3)에,

오목형(凹) 홈 지지부를 π/3(1.0472) 라디안의 등간격으로 확보하여,

3개 플랜지를 조립하면 튜브내벽 음정현파 마루와 밀결합되며,

플랜지 연장부인 정삼각형 꼭짓점의 자기 부상과 균형 및 견인편은,

z축상 프레임 길이는 33.3333t(1/3m)로,

프레임간의 간격은 66.6666t(2/3m)로 하여,

불연속 선(dashed line)형상 궤도로 구성되며,

100m 단위 표준 주행튜브당 300개 집합 자기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9

제8 항에 있어서,

꼭짓점 A 기준 플랜지 연장선 정삼각형 꼭짓점의 삼상궤도는,

수직 y축의 π/2 웨브는 자기 균형편으로,

수평 x축의 π, 2π 양 플랜지는 자기 부상편으로,

수직 y축의 3π/2 돌출웨브는 자기 견인편으로,

단면폭인 두께t가 8t일 때 각 프레임은,

자기 균형편은 W:8t*H:20t*D:33.3333t,

자기 부상편의 한 단면은 W:15t*H:8t*D:33.3333t,

자기 견인편은 W:8t*H:15t*D:3.3333t의 형상치수를 갖고,

프레임에 영구자석을 매립하는 벌집형 매립공 혹은 수납홈은,

z축 방향 7·8·7개 매립공이 배열되는 다중 육방격자형으로,

외경ø3t(중심ø2. 6t)*중선 높이4t의 2중 원추형 매립공을 구비하고,

원추형 링형 영구자석 2개를 극성을 다르게 양면 매립하여,

자동 체결하는 삼상궤도 자기편의 제작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10

제9 항에 있어서,

정삼각형 꼭짓점(A:π/2, B:7π/6, C:11π/6) 삼상궤도의 자기편 극성(NS)은,

NS극이 교호 배치되는 자기 견인편을 제외한 부상편과 균형편의 극성을,

부상편-균형편-부상편 차례로 영구자석 자기편의 극성(NS) 배치를,

A자기편은 시계방향(↻) 자속인 <좌NS-NS-NS우>로,

B자기편은 반시계 방향(↺) 자속인인 <우NS-NS-NS좌>로,

C자기편은 시계방향(↻) 자속인 <좌NS-NS-NS우>로 배열하여,

삼상궤도 각기(各其) 자기편의 자속흐름이 폐회로를 형성케 하여,

궤도 영구자석의 자기장 에너지 보존으로 경년열화를 최소화하며,

A자기편 자속은 전향력 혹은 코리올리 힘의 방향과 역상으로,

B, C자기편 자속은 궤도평형과 중력 반대방향 자기장 벡터로,

튜브셔틀 자기 부상계의 안정화를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11

제8 항에 있어서,

주행튜브 내측 정삼각형 꼭짓점 π/2, 7π/6, 11π/6의 삼상궤도는,

선로튜브 외피두께 1t 기준 300t 주행튜브에서,

튜브내경지름(D) 286.7640t와 내경반지름(R) 143.3820t 기준으로,

궤도간 간격인 궤간b는 b=√(D²-R²)에 따라 248.3449t로 하며,

자기부상편의 플랜지D(5π/3), E(4π/3)에 구비되는 보조궤도는,

DE 현의 길이는 튜브내경 반지름(R) 값과 같고,

각기 3개 음정현파(◡◡◡) 형상의 골과 마루에 더하여,

좌우로 돌출되는 턱 혹은 가이드()를 추가하여,

리플 5개의 볼록오목형홈(◠◡◡◡◠)으로 26.1795t의 단면폭과,

π/3 라디안의 원호궤간 혹은 143.3820t의 폭을 갖고,

튜브셔틀의 출발·도착이나 비상시 보조바퀴의 ‘활주주행’ 궤도로 하며,

주행튜브 삼상궤도ABC를 제거한 상기 보조궤도만의 보조 단상궤도DE는,

터미널, 계류장 등의 스위칭 선로로 구성하여,

바퀴굴림 모드로 튜브셔틀의 분리, 결합, 궤도 이동 등의,

셔틀 입환(入煥, shunting)작업과 계류 등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12

삭제

 

청구항 13

삭제

 

청구항 14

제2 항에 있어서,

선로튜브 외피를 양정현파 주름관과 편평관으로 다시 보강하여,

내압력과 전단응력τ을 향상시키는 1차 강화튜브(1st consolidated tube)는,

선로튜브 외피에 추가하는 양정현파 주름관은 360개 리플을 갖고,

7선로튜브의 외경 원주면 길이는 2,833.7165t(π×902t)일 때,

1리플의 폭은 7.8714t(πD/360), 리플높이는 3.9357t가 되며,

양정현파 주름관 두께 1t와 선로외피 두께 각 1t를 감안하여,

외경지름(D)은 913.8714t의 형상 치수로 연근해 구간용 선로튜브로,

1차 강화튜브를 양정현파 주름관과 편평관으로 보강한 2차 강화튜브는,

1차 강화튜브 외경 원주면 길이는 2,871.0116t일 때,

1리플의 폭은 7.9750t(πD/360), 리플 높이는 3.9875t가 되고,

주름관 두께t와 튜브외피 각 1t를 감안한,

외경지름(D)은 925.8464t로 심해구간 선로튜브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튜브를 타 튜브로 분기 혹은 합류하는 교차점 선로 구성방식은,

상하 직각 교차(+)하는 xy축 본선의 4방향 접속을 기본으로,

각 사분면에 단위반지름 1R의 도넛형 회전튜브 4개를 구비하며,

각기 원점이 Ⅰ(1, 1), Ⅱ(-1, 1), Ⅲ(-1, -1), Ⅳ(1, -1)에 위치하고,

본선과 회전튜브가 (1, 0), (0, 1), (-1, 0), (0, -1)에 접점을 갖는,

4방향 (루프) 회전 교차로를 형성하며,

각 접점은 1 본선 선로튜브와 2 회전튜브를 묶어 일체화한,

교차형스위치(Cross over Switch, XoS)를 구비한 스위칭튜브로,

선로튜브와 회전튜브를 접속하여,

분기와 합류 트래픽을 동일스위치의 교차기동으로 처리하며,

본선(x축)과 타선(y축)의 스위칭을 Ⅰ사분면 회전튜브를 대표로 하면,

x→y축 우회전은 x(1, 0) 교차형스위치에서 분기한 후,

Ⅰ사분면 회전튜브를 π/4 원호 주행하여,

y(0, 1) 교차형스위치에서 y축 선로튜브로 합류하는 우현 직접접속으로,

x→y축 좌회전은 교차점(0, 0) 통과 후 x(-1, 0) 교차형스위치 분기 후,

3π/2 원호 주행 후 y(0, 1) 교차형스위치에서,

x축 선로튜브로 합류하는 P회전(P turn) 접속으로 대표되는,

4방향 트래픽을 2단 교차스위칭으로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xy축 선로튜브와 회전튜브 접점 부분인 ‘스위칭튜브’의 물리적 형상은,

선로튜브와 회전튜브가 하나로 결합된 묶음형 튜브형상으로,

도넛형 회전튜브의 중간층 외측의 5번튜브(π)를 제거하여,

회전측 0번 튜브가 선로측 우측 2번 혹은 좌측 5번 튜브와 연접토록 하며,

상층은 회전측 6·1 번, 선로측 6·1 번, 회전측 6·1 번 튜브궤도를,

중층은 회전측 0·2번, 선로측 5·0·2번, 회전측 0·2번 튜브궤도를,

하층은 회전측 4·3번, 선로측 4·3번, 회전측 4·3번 튜브궤도로,

6·7·6 개의 3층 궤도로 수평면에서 교차형스위치(XoS) 회로를 구성하고,

교차형스위치(XoS)가 설치되는 xy축 스위칭튜브 구간은,

튜브간 격벽인 주행튜브 외피를 제거하고,

상하층의 주행튜브를 이격시켜 튜브간 엉킴을 제거하여,

삼상궤도 굴절편의 이동공간과 액추에이터 설치공간을 확보하되,

급행인 중층 튜브 0번(0,0), 2번(2π), 5번튜브(π)를 기준으로,

상층인 6번튜브(2π/3), 1번튜브(π/3)는 위쪽으로,

하층인 4번튜브(4π/3), 3번튜브(5π/3)는 아래쪽으로,

주행튜브 반지름 1R 기준으로,

각기 상하로 R(√3 -1)+tF(tF: 프레임 두께)의 간격을 이격시키며,

굴절편 구동 액추에이터(actuator)와 삼상궤도를 지지하는 프레임은,

주행튜브와 회전튜브의 상층튜브, 중층튜브, 하층튜브를,

3개의 묶음형 프레임(bundle frame)으로 결속한 후,

선로튜브에 프레임을 고정하는 타원형 통짜형상으로,

교차형스위치(XoS)가 구비되는 접점구간의 스위칭튜브를 구현하되,

지지 프레임 외곽을 양정현파 주름관과 편평관으로 보강하며,

선로튜브 외피두께 1t 기준의 타원형 스위칭튜브 형상치수는,

장축지름a 2,119.0435t와 단축지름b 1,319.0435t로,

이심률 E= √(1-(b²/a²))은 0.7826을 갖고 있으며,

상기 튜브를 한 겹 더 주름관과 편평관으로 보강한 1차 강화 스위칭튜브는,

장축지름a 2,138.0435t와 단축지름b 1,338.2073t로,

이심률 E= √(1-(b²/a²))은 0.7799를 갖고 있으며,

1차 강화 스위칭 튜브를 한 겹 더 보강한 2차 강화 스위칭튜브는,

장축지름a 2,157.4149t와 단축지름b 1,357.5787t로,

이심률 E= √(1-(b²/a²))은 0.777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17

제15 항에 있어서,

교차형(交叉型)스위치(Cross over Switch, XoS)는,

선로튜브와 회전튜브간 혹은 회전튜브와 회전튜브간 접점의,

연접하는 튜브간 삼상궤도 굴절편으로,

튜브 내측 정삼각형 꼭짓점 ABC(π/2, 7π/6, 11π/6) 삼상궤도에서,

궤도간 교차(cross) 접속용 이동궤도를 구비하되,

100m 단위 주행튜브 2~3개의 삼상궤도를 각기 좌우로 교차 굴절시키고,

굴절되지 않는 연접궤도의 상층궤도인 A(π/2) 궤도와,

BC(7π/6, 11π/6) 궤도를 좌우로 동시에 굴절시켜,

연접궤도로 교차 진입하는 셔틀의 스위칭 공간을 마련하며,

평행하는 수평연접 삼상궤도간 트래픽을 교차(cross)로 교환(☰✕✕☰)하여,

좌우회전이나 궤도변경 트래픽을 동일 스위치에서 처리함으로써,

교차로와 분기 및 합류점의 삼상궤도간 트래픽을 교환하고 분배하며,

상기 이동궤도인 굴절편은 튜브외피 두께 1t와 300t 주행튜브 기준으로,

궤도간 간격인 궤간bb= √(D²-R²)에 따라 248.3449t로,

100m길이 표준 주행튜브의 궤도 접힘폭은 좌우로 150t로,

주행튜브 2개의 궤도 접힘폭이 300t로 좌우방향으로 거동하여,

굴절편으로 스위칭을 완성하는 분기와 합류 겸용 교차형스위치(XoS)와,

궤도 굴절편은 액추에이터(actuator)를 삼상궤도에 취부하여 작동하며,

중앙과 권역 관제소의 인공지능(AI)으로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튜브’와 xy축 본선 선로튜브의 접속에 있어,

중층부 회전측 0·2번, 선로측 5·0·2번, 회전측 0·2번 튜브를 중심으로,

상층부 회전측 6·1번, 선로측 6·1번, 회전측 6·1번 튜브와,

하층부 회전측 4·3번, 선로측 4·3번, 회전측 4·3번 튜브 사이의,

경사각(tanθ)인 0.015(0.8594°)라디안 구배를 순차적으로 상향 혹은 하향시키는,

y축 초점 타원형 선로튜브로 구성되는 경사튜브(ramp tube)를 구비하여,

선로튜브(TL)와 스위칭튜브(TS) 및 경사튜브(TR)를 접속하되,

선로(TL)·경사(TR)·스위칭(TS)·경사(TR)·선로(TL) 튜브 순차로,

100m 단위튜브를 (TL)·3(TR)·2(TS)·3(TR)·(TL) 개로 배치하여,

경사각 구배를 포화 곡선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xy축 주행튜브와 접점의 좌·우회전 트래픽을 처리하는 회전튜브는,

시계방향 회전의 동심원을 갖는 도넛형 튜브로 구비하며,

외측 5번튜브(π)와 중심측 0번튜브(0, 0)의 용도를 대체 변경하여,

5번튜브(π)는 유지보수, 0번 튜브(0, 0)는 급행용으로 하며,

교차형스위치가 설치되는 xy축 접점구간의 외측 5번튜브(π)는 제거되며,

도넛형 튜브외측 2π/3(6번) O(0번) 4π/3(4번)는 분기·합류용으로,

도넛형 튜브내측 π/3(1번) 2π(2번) 5π/3(3번)는 보조 순환용으로,

시계방향의 단방향 회전으로 본선 분기와 타선 합류를 처리하되,

외측 주행튜브는 주 회선으로 우회전과 좌회전 트래픽을 처리하고,

내측 주행튜브는 보조회선으로 xy축 본선직진 트래픽 대기와,

회전튜브 내부노드의 입·출향 트래픽을 처리하며,

튜브외피 두께 1t 기준 300t 회전튜브의 형상치수는,

0.015 라디안의 곡률반지름ρ(radius of curvature)을 갖고,

6.6666km 회전반경(R) 혹은 13,3333km 회전직경(D)으로,

41,887.9m(41.8879km)의 회전원주(2πR)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0

제19항에 있어서,

시계방향(↻) 좌우회전 트래픽을 처리하는 Ⅰ Ⅱ Ⅲ Ⅳ사분면 1차 회전튜브는,

xy축 주행튜브와 4개소의 접점을 갖고 좌·우회전 트래픽을 처리하며,

각각의 사분면 회전튜브 내부 π/4, 3π/4, 5π/4, 7π/4에

교차형 스위치(XoS)와 4개 도넛형 2차 회전튜브가 구비되어,

xy축 선로튜브 교차점에 총 16개 2차 회전튜브가 설치되며,

튜브외피 두께 1t와 300t 주행튜브 기준 2차 회전튜브의 형상치수는,

2.7614km 회전 반경(R) 혹은 5.5228km 회전 직경(D)과,

17.3505km 회전 원주(2πR) 길이를 갖게 되며,

상기 2차 회전튜브내 π/4, 3π/4, 5π/4, 7π/4에 교차형스위치 구비로,

회전튜브 내외부에 여객·화물 터미널이나,

정비·격납기지 등을 복수 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xy축 4개 회전튜브 내측에 설치되는 원점 회전튜브는,

xy축 원점O(0, 0)에 중심점을 갖고 각 사분면 회전튜브와 접점을 이루며,

외접하는 회전튜브 단위반지름 1R의 R(√2 -1)크기로 구비하되,

각기 접점 π/4, 3π/4, 5π/4, 7π/4에 교차형스위치(XoS)를 구비하고,

반시계방향 회전의 동심원을 갖는 도넛형 튜브로 구비되며,

외측선로는 회전튜브의 좌회전 트래픽을 인도받아 π원주 회전 후,

교차형스위치를 통해 회전튜브로 트래픽을 출향시키고,

내측선로는 보조궤도로 좌회전 대기 트래픽을 순환하는,

반시계방향 회전의 좌회전 전용궤도로 활용하며,

예비용 혹은 소규모 트래픽 교차점의 회전튜브로 활용하되,

소규모 트래픽 구간 교차점의 회전튜브로 활용할 경우,

xy축 본선과 접하지 않는 회전튜브 외곽 3/4 원호 회전튜브인,

2π/2-π, 2π-3π/2, π/2-2π, π-π/2구간 회전튜브는 제거하되,

각 사분면 회전튜브 접속부를 100m 이상 구비하여,

트래픽 증가시 회전튜브 외주 3/4 원호 구간증설에 대비하며,

본선과 접하는 Ⅰ, Ⅱ, Ⅲ, Ⅳ 사분면 1차 회전튜브 원호의 1/4인,

2π-π/2, π/2-π, π-3π/2, 3π/2-2π구간 1차 회전튜브 원호와,

xy축 원점 회전튜브 접점에 교차형스위치(XoS)를 설치하여,

타선 방향 우회전과 좌회전 트래픽을 처리하게 함으로써,

xy축 각 사분면을 회전하는 1차 회전튜브 없이 4방향 교차로를 구성하며,

본선에서 지선이 분기하는 T형 3방향 교차로로 활용할 경우,

본선축 한 방향을 제거하여 3방향 선로를 구성하며,

원점 회전튜브와 3방향 접속의 1차 회전튜브 원호 부분만으로,

우회전과 좌회전 트래픽을 처리하되 4방향 확장에 대비하여,

교차형스위치 사전설치와 튜브 접속부를 100m 이상 구비하며,

튜브외피 두께 1t 기준 원점 회전튜브의 형상치수는,

1차 회전튜브 반지름(R)인 6.6666km의 R(√2 -1)인,

2.7614km의 반지름(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2

제21항에 있어서,

Ⅰ, Ⅱ, Ⅲ, Ⅳ사분면 4개의 1차 회전튜브 외곽에 내접하는,

대원(大圓)의 회전튜브를 구비하고,

xy축 π/2, π, 3π/2, 2π에 교차형스위치(XoS)와 접속로를 구비하고,

대원과 접점에 접선튜브를 갖는 또 다른 xy축 선로튜브 건설로,

격자형 혹은 그리드망을 구축하거나,

대원 회전튜브 π/4, 3π/4, 5π/4, 7π/4 방향으로 π/4 위상 이동하는,

x’y’축 선로 튜브와 접속로를 추가하여 8단자형 허브를 구축하며,

대원 회전튜브 π/8, 3π/8, 5π/8, 7π/8, 9π/8, 11π/8, 13π/8, 15π/8에,

대원 회전튜브와 선로튜브간 교차형스위치를 구비하며,

대원 회전튜브의 회전 방향은 반시계방향으로 하여,

xy축과 x’y’축의 8 방향 튜브간 트래픽을 처리하고,

튜브외피 두께 1t와 300t 주행튜브 기준 대원 회전튜브의 형상치수는,

16.0947km 회전 반경(R) 혹은 32.1895km 회전 직경(D)과,

101.1263km 회전 원주(2πR) 길이를 갖게 하여,

사통팔달(四通八達) 노선망의 허브 혹은 노드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3

제15항에 있어서,

수직 교차형(交叉型)스위치(vertical Cross over Switch, vXoS)는,

선로튜브와 회전튜브 혹은 터미널 플랫폼튜브 등에서,

상하로 연접하는 튜브간 삼상궤도 굴절편으로,

튜브 내측 정삼각형 꼭짓점 ABC(π/2, 7π/6, 11π/6) 삼상궤도에서,

궤도간 교차(cross) 접속용 이동궤도를 구비하되,

100m 단위 주행튜브 2개의 삼상궤도를 각기 상하로 교차 굴절시키고,

굴절되지 않는 상하층 연접궤도의 상층궤도인 A(π/2) 궤도와,

BC(7π/6, 11π/6) 궤도를 상하로 동시에 굴절시켜,

상하층 궤도로 교차 진입하는 셔틀의 스위칭 공간을 마련하며,

상하층 연접 궤도간 트래픽을 교차(cross)로 교환(☰✕✕☰)하여,

상하층간 궤도변경 트래픽을 동일 스위치에서 처리함으로써,

선로튜브와 터미널 플랫폼튜브의 궤도간 트래픽을 교환하고 분배하며,

상기 이동궤도인 수직 굴절편은 튜브외피 두께 1t와 300t 주행튜브 기준으로,

100m 길이 표준 주행튜브의 궤도 접힘폭은 상하로 150t로,

주행튜브 2개의 궤도 접힘폭이 300t로 상하방향으로 거동하여,

2 굴절편으로 상하층 삼상궤도간 스위칭을 완성하는,

수직방향 분기와 합류 겸용의 수직 교차형스위치(vXoS)와,

궤도 굴절편은 액추에이터(actuator)를 삼상궤도에 취부하여 작동하며,

권역과 중앙관제소의 인공지능(AI)으로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 이동체인 튜브셔틀은,

주행튜브 정삼각형 꼭짓점의 자기편 철(凸)에 대응되는,

이동체 내접 꼭짓점 ABC(A:π/2, B:7π/6, C:11π/6)에,

셔틀의 축방향 포물면 홈과 매립형 전자기편 요(凹)를,

2π/3 라디안(120도) 위상 간격으로 원주면에 배열하며,

삼상궤도(3 phase track) ABC 각 상의 자기 부상력과 균형력 및 견인력은,

xyz축 상하 좌우 전후로 구속되어 안정평형 상태를 유지하며,

3차원 공간인 원통 좌표계의 가상원점O과 중심축에 집중되는,

무게와 모멘트 중심점 및 복원력으로 단조화 운동이 억제되며,

단상궤도의 √3배 부상력, 견인력, 내진동 특성을 갖게 하며,

튜브셔틀의 구동방식은,

선형스테핑모터(LSM) 방식으로,

1 스위칭 주파수당 주행튜브 궤도 단위길이인 1m를 구동하고,

출발·정지와 가속·등속·감속을 스위칭 주파수로 제어하되,

관제소 인공지능(AI)으로 자율주행 방식 제어체계를 구비하며,

튜브셔틀의 본체인 실린더형 몸체 구조물은,

음정현파 주름판을 코어로 편평판으로 안팎의 바깥층을 형성하며,

정삼각형 내접 꼭짓점ABC에 포물면 관통홈의 형상을 갖는,

전자기편 뱅크 혹은 트레인을 구비하여,

전자기 날개(W), 전자기편(M), 전자기 방사판(R)을,

W·M·R·M·R···R·M·R·M·W순으로 직렬 배열하여,

주행튜브의 삼상궤도를 안정평형 상태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5

제24항에 있어서,

정삼각형 내접 꼭짓점ABC의 매립형 전자기편 요(凹)의 기능별 배치는,

단위개소 요(凹)의 배치는 꼭짓점 A(π/2)의 전자기편을 기준으로,

π, 2π 방향 2개 요(凹)는 자기 부상편으로 영구자석을,

π/2 방향 1개 요(凹)는 자기 균형편으로 영구자석을,

3π/2 방향 1개 요(凹)는 전자기 견인편으로 전자석을 배치하며,

주행튜브 방향 2개 π, 2π 자기 부상편과 π/2 자기 균형편의 영구자석은,

링형 영구자석의 끝단을 45도 각도로 절단 가공한 후,

90도 각도로 직렬 연결하여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고,

튜브셔틀 원점방향 각기 2개 π, 2π 자기 부상편의 후단은,

강자성체인 적층 규소강판(4% 규소)요크로 접속하여,

누설자속φ(leakage flux)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전체 튜브셔틀의 12m 단위 자기부상편과 자기균형편 배열구조는,

1m 단위 등간격으로 1번~12번 각 36개 전자기 집합편을 배치하되,

셔틀 축방향 7·8·7개 배열되는 다중 육방격자형 벌집형 매립공에,

각 집합편당 22개 소형 영구자석을 분산 장착하며,

2번과 11번 각 자기편은 능동제어 전자석편으로 대체하되,

자기 부상편과 자기 균형편을,

집합형 전자석편 혹은 초전도자석편으로 구비하여,

영구자석의 자기 부상력과 균형력을 보정하고 증강하며,

튜브셔틀의 x(t), y(t), z(t) 변위를 센서로 측정하여,

셔틀의 중력자중과 승객·화물 등에 의한 부하변동과,

x축 롤(roll, ø), y축 피치(pitch, θ), z축 요(yaw, ψ) 운동과,

주행속도와 궤도상황에 따른 커브구간 틸팅(tilting) 위상각θt 보상 등을,

자속선의 정밀제어로 구속하여 동적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6

제25 항에 있어서,

1m 단위 1번~12번 전자기편 편간의 단위미터 위치 11개소에,

3π/2 좌우 요(凹)는 전자기 견인편과 변환코일부를 배치하되,

튜브셔틀 내장 배터리 전원으로 여자되는 전자기견인편을,

좌우 2개 7·8·7개 배열되는 다중 육방격자형 벌집형 매립공에,

각 집합편당 22개 소형 전자석을 분산 장착하고,

후단을 강자성체인 적층 규소강판(4% 규소)요크로 접속하여,

누설자속φ(leakage flux)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전자기견인편 전후에 각기 3·4·3개 변환코일부를 함께 배열하여,

튜브셔틀의 감속모드 전환시 회생제동 발전·배터리 충전기능으로,

관성부하(inertia load)의 병진운동 에너지(Et = 1/2mv²)를,

전기에너지(E=NBAωt)로 회수하여 제동력을 확보함으로써,

선형스테핑모터(LSM)의 초고속 주파수 거동시 탈조와 공진을 예방하며,

상기 변환코일부는 병렬 무선충전 회로 2차코일로 겸용하여,

여객·화물포트나 셔틀·정비기지 등 셔틀정차 장소의,

3상 교류전력 충전 포스트의 1차 변환코일(transformer coil)로 부터,

무선급전으로 셔틀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7

제24항에 있어서,

셔틀 선두와 꼬리 부분에 X자 유선형 전자기 날개(wing)를 구비하되,

주행튜브의 + 형 자기편과 π/4 위상각(θ)을 갖고,

궤도와 동일자극의 플럭스 포일(flux foil) 날개 표면으로,

셔틀 거동시 주행튜브 궤도의 자기편 자속(flux)을,

각 사분면 45도 각도로 쪼개어 분할하는 자속 분리기(splitter)로 역할하고,

1~11번 전자기편과 변환코일편의 편간위치에 전자기 방사판을 연속 배치하되,

냉간압연강판 혹은 전자강판(magnet steel plates)을 취부하여,

튜브셔틀 거동시 분리된 삼상궤도 자속을 공극내로 반사 압축하여,

주행튜브 자기편과 셔틀 전자기편의 자속선 흐름을 공극으로 유도하며,

자속밀도B(Wb/m²)와 자속에너지밀도(J/m³)를 증가시키는,

자속분리압축기(flux splitter & compressor)기능을 갖게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8

제24 항에 있어서,

튜브셔틀의 표준전장은 15m 길이로 주행튜브 내벽과 5t의 공극을 갖고,

12m 삼상 전자기편을 갖는 반지름(R) 138.3820t의 실린더형 몸체와,

반지름(R) 138.3820t의 반구의 해치부를 몸체 양단에 구비하며,

양단 해치부에 비상구(emergency exit)와 전자기 도킹부를 배치하여,

비상구로 응급·재난시 구난셔틀로 탑승객의 피난통로를 확보하고,

도킹부 전자기 시건장치로 군집주행시 타 셔틀과 접속·해제를 수행하며,

몸체는 원주면에 180개 주름을 갖는 음정현파 주름판을 코어로 구비하며,

편평판으로 주름판 내외를 보강한 3중판으로 튜브셔틀의 몸체를 형성하되,

음정현파 주름판 마루와 외측 편평판 사이 빈공간에는 세심관을 구비하여,

호흡용 산소와 냉각용 헬륨, 질소 등을 다수 관에 충전하고,

표준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를 축방향으로 길게 적재하여,

별도 배터리 설치공간 없이 대량 배터리를 넓게 분산 배치함으로써,

파우치형 전지의 고집적화로 발생하는 발열과 폭발문제를 해소하고,

하중을 이동체 원주표면으로 확산하여 무게중심을 분산하며,

실린더형 몸체와 해치부로 구성되는 셔틀의 원주면 배치에 있어,

π/2↔11π/6과 π/2↔7π/6 양 측면에는 셔틀 출입문을,

7π/6↔11π/6에는 보조바퀴와 제어회로 등 기계장치를,

π/2 궤도편 양측은 공조와 초전도 전자석 구동용 냉각설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 이동체인 튜브셔틀은,

원주면 하단 Ⅲ, Ⅳ 사분면에 볼록형(凸) 보조바퀴를 구비하되,

Ⅲ 사분면은 4π/3, Ⅳ 사분면은 5π/3에 위치시키고,

바퀴간 윤거(輪距, tread)는 π/3(R)의 원호길이를 갖게 하여,

마찰 주행하는 ‘활주주행 모드’와 ‘격납잠김 모드’를 제공하며,

튜브셔틀의 출발이나 도착 및 서행주행과 정지 등 과도상태 운행시에,

바퀴내림 모드로 전환하여 ‘활주주행 모드’ 기능을 제공하되,

내장 배터리 전력으로 보조궤도에 접지하고 마찰력 구동으로,

선형스테핑모터(LSM)의 과도상태 거동부하를 분산하여,

튜브셔틀의 정격등속 운행과 정상상태 천이를 보조하고,

튜브셔틀의 정지 상태에는 ‘격납잠금 모드’의 브레이크 기능을 제공하며,

보조바퀴 크기는 2πR=2m의 원주율을 갖는 반지름 0.3183m(R=1/π)로,

보조바퀴 π라디안 회전이 보조궤도 1m 주행 거리와,

2π라디안 회전이 보조궤도 2m 주행거리를 확보하며,

보조바퀴 폭은 보조궤도인 2개 리플 턱과 3개 오목형(凹) 홈(◠◡◡◡◠)에,

3개 트레드와 2개 어깨의 볼록형(┗◡◡◡┛) 형상의 접지면을 갖는,

26.1975t 폭의 바퀴를 튜브셔틀 좌우에 2개씩 4개를 구비하며,

바퀴 구동형식은 휠인모터와 스테핑모터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 이동체인 튜브셔틀은,

주행튜브측 1m 단위 삼상궤도의 자기편 스테이터(stator)와,

튜브셔틀의 12m 단위 전자기편인 로터(rotor)간 동기방식으로,

선형스테핑모터(LSM) 스위칭 작동으로 거동하며,

중앙·권역 관제소 인공지능(AI) 운영체제의 제어를 통하여,

전체 셔틀의 다이어그램과 교차형스위치(XoS) 기동 설정과,

튜브셔틀 전자기 견인편의 인가 스테핑 주파수 제어와,

출발·가속·등속·감속과 회생발전·정지 상태를 조절하며,

출발·가속·감속과 회생발전·정지 등 과도상태 거동시에는,

보조바퀴에 의한 ‘활주주행 모드’의 거동을 병행하여,

선형스테핑모터의 과도상태 거동 부하를 분산하며,

이동체 거동으로 생성되는 코킹토크와 진동에너지를,

주행튜브와 대지로 환류(feedback)하여 감쇠시키는,

불요 에너지파 접지(接地)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 이동체인 튜브셔틀은,

표준 15m 단위 튜브셔틀의 단독주행을 기본으로 하되,

셔틀해치의 전자기 도킹부 가동으로 n*셔틀 다연장 주행을 하며,

목적지가 다른 셔틀의 다방면 군집주행은,

본선 직진, 타선 우현, 타선 좌현방향 순으로 다연장 편성하고,

접속로 교차형스위치(XoS) 도달전 해치의 도킹부 접속을 해제하여,

직진은 정속, 우회전은 정속/√2 , 좌회전은 정속/√3 이상 감속하여, 회전구간의 원심력 저감과 스위칭에 따른 적정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군집셔틀을 목적지별로 분리한 후 직진, 우현, 좌현 순의 스위칭으로,

목적지별로 튜브셔틀의 트래픽을 분배하며,

xy축 본선 트래픽의 동일방향 셔틀은 주행중 근접토록 감속·가속한 후,

도킹부를 가동하여 n*셔틀 다연장 편성과 접속주행으로,

선로튜브와 터미널 등의 운영효율 제고를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2

제15 항에 있어서,

진공튜브와 자기부상 삼상궤도 및 교차점의 선로구성에 있어서,

상기 선로튜브는 해상구간과 육상구간에 걸쳐 시설하며,

선로튜브의 해저구간 강화튜브 혹은 선로 시스템은,

튜브부력과 균형점을 유지하는 무게의 부력 평형추 공법과,

해저 테트라포드(tetrapod)와 케이블로 접속하는 튜브앵커 공법과,

해저에 교각을 건설하여 튜브를 고정하는 수중교각 공법을,

해저의 지형조건, 단층대, 수심, 해류 등의 환경요소를 감안하여,

튜브와 바닷물의 부피(V=2πr²h) 대 밀도ρ(kg/m³)가 균형점을 이루어,

알짜 힘이 영(0)이 되는 평형상태 V바닷물/V튜브 = ρ튜브바닷물 를 유지하는,

부력 평형추와 튜브앵커 및 수중교각공법을 조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유체인 바닷물속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가속하는 부력(buoyant force)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이동 시스템.

 

청구항 33

제32항에 있어서,

해저에 교각을 건설하여 강화튜브를 고정하는 수중교각 공법은,

해저지반을 굴착하여 설치되는 Y(U+I)형 구조물의 형태로

강화튜브 혹은 선로 시스템을 지지하며,

수중교각과 강화튜브 접속부인 함체의 π, 5π/4, 7π/4, 2π 4 개소를,

7개 코일을 1개로 결속시킨 묶음형 튜브댐퍼로 접속하여,

강화튜브 하중과 튜브부피(V=2πr²h)에 의한 부력을 상쇄하며,

스프링에 저장되는 탄성위치 에너지(elastic potential energy)를,

유체인 바닷물의 저지력(retarding force)과,

위상(phase)반전 코일의 소멸간섭과 감쇠진동 등으로,

스프링의 진자운동을 감쇠시켜 공진현상을 억제하고,

지진파 등 외부충격과 이동체 운행에 따른 진동 등의 파동에너지를,

대지로 환류시키는 불요 에너지파 접지(接地)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4

제32항에 있어서,

해저 테트라포드(tetrapod)를 케이블로 고정하는 튜브앵커 공법은,

연근해나 대륙붕 등 천해구간의 경우,

콘크리트 이형블록인 네발 구조물의 테트라포드(tetrapod)를,

해저지형 조건에 따라 50·100m 단위로 1~4개 투하하고,

고장력 케이블과 튜브댐퍼를 통하여 강화튜브를 접속하며,

높은 수압과 수중교각 설치가 어려운 해구나 해령과 같은 대심해 구간은,

선로튜브 외피를 보강한 2~3차 강화튜브를 채택하고,

테트라포드(tetrapod)를 좌우 2개소에 투하하여,

고장력 케이블과 튜브댐퍼로 접속하는 2앵커 공법으로,

수중교각 없이 대심해 구간을 종단 혹은 횡단하며,

유체인 바닷물속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가속하는 부력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5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력과 균형점을 유지하는 무게의 부력 평형추 공법은,

재료밀도ρ(kg/m³)가 높은 콘크리트(2.30×10³)나 철(7.86×10³)로,

구형(4πr³/3)의 부력 평형추를 튜브댐퍼와 접속하여,

강화튜브 100m당 1 개소 또는 복수 개를 튜브하단에 연결하여,

유체인 바닷물이 튜브에 작용하는 알짜힘(net force)인 부력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간 강화튜브의 시공과 건설은,

위성항법시스템과 음향송수신기의 위치측정 데이터로,

자세제어를 스러스터 자동제어로 수행하는 특수 시공선박 선박으로,

해저지반 천공과 수중교각 건설, 테트라포드 투하와 튜브앵커 시공 및,

강화튜브 접속과 부력 평형추 연결 등을 일괄하여 시공하되,

2선박이 순차적으로 전진하는 교차전진 혹은 순차교대 공법으로,

2척의 선박은 건설현장 100m 2개소 동시시공을 담당하며,

1튜브 접속 완료 후 100m 전진하여 앞 방향 튜브시공을 전개하고,

100m 단위로 튜브접속 시공과 건설을 일괄하여 완성시키며,

건설공사 완료 이후 선로유지 보수용 선박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7

제32항에 있어서,

선로튜브와 자기부상 삼상궤도 및 교차형스위치(XoS)를 포함하여,

육상구간의 시설은 지장 장애물이 적거나 개활지는 교각건설로,

제반 장애요인으로 구조물을 육상 지하구간에 시설하는 경우는,

지하 100m 이상의 대심도 터널을 굴착하여 건설한 후,

선로튜브를 반입하여 터널내벽과 튜브댐퍼로 접속하되,

각 접속점은 100m 단위의 선로튜브 연결부에 구비하고,

터널내벽의 접속점 π/2, 3π/4, π/4, 5π/4, 7π/4, 3π/2 6개소에,

7개 코일을 1개로 결속시킨 묶음형 튜브댐퍼(tube damper)로 접속하여,

중력에 의한 선로튜브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고,

스프링에 저장되는 탄성위치에너지를,

위상(phase)반전 코일의 소멸간섭과 감쇠진동으로,

스프링의 진자운동을 감쇠시켜 공진현상을 억제하고,

지진파 등 외부충격과 이동체 운행에 따른 진동·섭동 등의 파동에너지를,

대지로 환류시키는 불요 에너지파 접지(接地)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8

제15 항에 있어서,

양정현파 주름관 진공튜브와 1m 단위 자기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1/3m 궤도와 2/3m 궤도간 이격 간극을 갖고 있으며,

선로튜브간 접속부에 포물면 결합부를 설치하고,

내부 공간에 주행튜브 내경지름(Df) 크기의 진공차단벽과,

양 주행튜브 플랜지 경계면에 기밀유지용 이중오링(double O ring)과,

구동 액추에이터, 진공 감지센서, 좌우 2개의 진공펌프를 구비하며,

교차형스위치(XoS)가 구비되는 여객·화물 터미널과 접속로 등의 장소에,

xy축 원점O(0, 0)의 중앙 원점튜브를 제외한 1~6번 주행튜브를,

진공 혹은 아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진공차단벽과 진공펌프를 구동하며,

여객·화물 터미널과 셔틀·정비 기지 등 셔틀 정차장소인 플랫폼에는,

주행튜브와 플랫폼 경계점에 인입진공차단벽과,

20m 단위로 복수개의 구역진공차단벽을 설치하여,

셔틀 연장길이를 가변적으로 수용하는 진공챔버를 형성하며,

튜브셔틀이 상시 진공상태인 주행튜브로 진입하는 절차는,

개방된 인입진공차단벽을 통과하여 진공챔버로 이동한 후,

구역진공차단벽 앞에 일시 정지하여 인입진공차단벽을 폐색하여,

진공펌프로 주행튜브와 셔틀사이의 공기를 완전 방출시킨 후,

이물의 구역진공차단벽을 개방하여 튜브셔틀을 출발시키는 수순으로,

튜브셔틀이 주행튜브에서 대기(大氣)상태의 플랫폼에 도착하는 절차는,

플랫폼의 인입진공차단벽 앞에 일시 정지한 후,

고물의 구역진공차단벽을 폐색하여 주행튜브와 격리시키며,

진공챔버를 대기(大氣)로 채운 후 인입진공차단벽을 개방하여,

플랫폼으로 이동한 후 승객·화물의 하차·하역 수순으로,

주행튜브의 상시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진공차단벽과 진공펌프의 구동전원은,

육상구간은 보조튜브를 통해 외부 전력선을 인입하며,

해상구간은 보조튜브를 통해 육지 외부 전력선을 인입하거나,

수중교각이나 튜브앵커에 해상풍력 혹은 파력발전을 시설하고,

배터리로 충전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39

제38항에 있어서,

튜브셔틀 플랫폼의 경계점에 인입진공차단벽과 구역진공차단벽을 포함하여,

셔틀내부의 바닥 높이와 플랫폼의 상면이 같은 복수개의 승강장 양측면에,

충전포스트가 구비된 A(π/2)궤도와 DE(4π/3, 5π/3) 보조궤도로 구성되는,

플랫폼 삼상궤도를 1 주행튜브당 5개 이상 수평면에 구비하여,

다중섬식플랫폼으로 형성되는 승강장에서 승객과 물류를 처리하며,

구역진공차단벽 후단은 교차형스위치로 분기와 합류선로를 구성하여,

본선 주행튜브로 트래픽을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 이동 시스템.

 

청구항 40

삭제

Post Author: besetotube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