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Utopia) 와 디스토피아(Dystopia) 그리고 튜브피아(Tubepia)

이상향(理想鄕)이라고도 하는 유토피아(Utopia)는 ‘현실에는 결코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사회’를 일컫는 말이다. 영국의 사상가 토머스 모어(T. More)가 1516년에 만들어낸 말로 그리스어의 ou(없다), topos(장소)를 조합한 말로서 “어디에도 없는 장소”라는 뜻이다.
“베세토튜브연구회”에서 주창하는 베세토(글로벌)튜브는 탈석유(Post Oil) 시대의 글로벌 운송 시스템을 목표로 한다. “튜브피아(Tubepia)”는 튜브(Tube)와 유토피아((Utopia)의 줄임말로 생태문명(生态文明) 시대의 물류인터넷(Internet of Logistic, IoL)을 표징(表徵)한다.
저(低)엔트로피의 생태문명 경제체제에 적합한 교통모드 시스템으로 베세토(글로벌튜브)는 5대양 6대주를 연결하는 지구공학적 차원의 사상 최대규모 프로젝트이다. 글로벌튜브로 시현될 튜브피아(Tubepia)는 인터넷과 같은 거버넌스의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요구된다.
인터넷은 “정보의 민주화”를 이룩하였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은 “가치의 민주화”를 시현하고 있다. 인터넷의 거버넌스는 어느 한 국가, 기관, 기업의 패권을 부정하는 분권화 모델이다. 인터넷 세상에서는 지리적, 주권적 장벽은 존재하지 않는다.
베세토튜브의 “333모델”은 “삼상궤도 기술방식”과 “삼위일체 거버넌스” 및 “삼위일체 튜브본위제 암호화폐” 발행을 의미한다. “333모델”은 인터넷 거버넌스를 발전적으로 재해석하여 설계한 삼위일체 분권화 모델로 “튜브피아(Tubepia)”를 시현하는 준거틀이다.

Translate(翻譯)»
툴바로 바로가기